금화신화
시조 동명성왕의 성은 고씨요, 이름은 주몽이다(추모 혹은 상해라고도 한다). 처음에 부여왕 해부루가 늙도록 아들이 없어 산천에 제사하여 후사를 구하려 했는데, 그가 탄 말이 곤연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마주 대하여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그 돌을 옮겨놓고 보니, 한 금색 개구리 모양의 아이가 있었다. 왕이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는 하늘이 내게 뛰어난 자식을 주심이라”하고 곧 데려다 길렀다. 이름을 금와라 하고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그 후에 국상 아란불이 말하기를 “일전에 천신이 제게 강림하여 이르기를 장차 나의 자손으로 이곳에 건국케 하려하니 너희는 다른 곳으로 피하라. 동해가에 가섭원이란 곳이 있으니 토양이 기름지고 오곡에 알맞으니 도읍할만하다고 하였습니다.”하였다. 아란불이 드디어 왕을 권하여 그곳으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동부여라 하였다.
그 옛 수도에는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었으나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는 이가 와서 도읍하였다. 해부루가 돌아가고 금와가 그 왕위를 이었다. 이때 금와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한 여자를 얻어 내력을 물으니 대답하기를, “나는 하백의 딸로 이름은 유화입니다. 여러 아우들과 함께 나와 놀고 있을 때 한 남자가 나타나, 스스로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 하고 나를 웅심산 아래 압록강가의 집 속으로 유인하여 사욕을 채운 후 곧 가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우리 부모는 내가 중매도 없이 남에게 몸을 허락하였다고 하여 드디어 이 우발수에 귀양을 보냈습니다.”라 했다.
금와는 이상하게 여겨 그 여자를 집 속에 가두었다. 그녀에게 햇빛이 비추더니 몸을 피하여도 또 따라와 비추었다. 그로 인하여 태기가 있더니 다섯 되 만한 큰 알을 낳았다. 왕이 그 알을 개와 돼지에게 주었더니 먹지 않았고, 또 길에 버렸더니 소와 말이 피해갔다. 뒤에 들에 버렸더니 새가 날개로 품어주었다. 왕이 그 알을 쪼개보려 하였으나 잘 깨어지지 않았으므로 마침내 그 어미에게 도로 주었다. 그 어미는 물건으로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사내아이가 껍질을 깨뜨리고 나왔다. 아이의 외모가 빼어났으며, 나이 일곱 살에 평범한 아이와 확연히 다르게 제 손으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풍속에서 활 잘 쏘는 자를 ‘주몽’이라 하므로 그로써 이름을 지었다 한다.
금와왕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어 주몽과 함께 놀았는데, 그 재주와 능력이 모두 주몽을 따를 수 없었다. 맏아들인 대소가 왕에게 말하기를, “주몽은 사람의
소생이 아니고 그 위인이 용맹스러우니, 만일 일찍 그를 도모하지 않으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청컨대 그를 없애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은
듣지 않고 주몽으로 하여금 말을 기르게 하였다.
주몽이 말을 살펴본 후 준마에게는 먹을 것을 줄여 여위게 하고 둔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하였다. 왕은 살찐 말은 자기가 타고 여윈 것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 후 들에서 사냥을 할 때 주몽은 활을 잘 쏘는 까닭으로 화살을 적게 주었으나 그가 잡은 짐승은 매우 많았다.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또 그를 죽이려 모의했다. 이에 주몽의 어머니가 비밀히 아들에게 말하기를, “나라 사람이 장차 너를 해치려 하니 너의 재주와 지략을 가지고 어디에 간들 안 되겠느냐, 지체하다가 욕을 당하느니보다는 멀리 가서 큰일을 하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주몽은 이에 오이, 마리, 협부 3인과 도망하여 엄시수[일명 개사수니 지금의 압록 동북에 있다]에 이르러 물을 건너려 하였으나 다리가 없었다, 추격병이 이를까 두려워하며 강물에 고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오, 하백의 외손으로 오늘 도망하는 중에 쫓는 자가 이르고 있으니 어찌하랴”하였다. 이때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만들어 주었다. 주몽이 무사히 건너자 물고기와 자라가 곧 흩어지니 뒤를 쫓는 기병이 건너오지 못하고 말았다.
주몽은
모둔곡[『위서』에는 보술수에 이르렀다 한다]에 이르러 세 사람을 만났는데, 한 사람은 마의를 입고 한 사람은 납의를 입고 또 한사람은 수조의를
입었다. 주몽이 묻기를 “그대들은 어떤 사람이며 성명이 무엇이냐”하니, 마의입은 사람은 말하기를 재사라 하고, 납의입은 사람은 무골이라 하고,
수조의 입은 사람은 묵거라 하고 성씨는 말하지 않았다. 주몽은 재사에게 극씨, 무골에게는 중실씨, 묵거에게는 소실씨란 성(姓)을 내려주고, 여러
사람에게 이르기를 “내가 지금 큰 명을 받아 국가를 개창하려 하는데 마침 이 세 현인을 만났으니 어찌 하늘이 내린 것이 아니랴”하고, 드디어 그
재능을 헤아려 각각 일을 맡기고 그들과 함께 졸본천에 이르렀다.[『위서』에는 흘승골성에 이르렀다 한다].
그 토양이 기름지고 산하가
험고함을 보고 거기에 도읍을 정하려 하였는데,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 단지 비류수가에 오두막집을 짓고 거기 거하여 나라를 고구려라 하고 인하여
‘고(高)’로써 성씨를 삼았다[혹은 이르되, 주몽이 졸본부여에 이르니 왕이 아들이 없었는데 주몽이 보통 인물이 아님을 알고 그의 딸로 아내를
삼게 하였으며, 왕이 돌아가니 주몽이 그 왕위를 이었던 것이라 한다]. 이때 주몽의 나이 22세였고 한나라 효원제(孝元帝) 건소(建昭) 2년이자
신라 시조 혁거세 21년인 갑신년이었다.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군신화 (0) | 2006.08.29 |
---|---|
김수로왕 신화 (0) | 2006.08.28 |
[스크랩] 고대 오리엔트 신화 (0) | 2006.08.15 |
[스크랩] 일본 신화 (0) | 2006.08.15 |
[스크랩] 북유럽 신화 (0) | 2006.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