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 無 渡 河 歌 (공무도하가)
백수광부의 처 - 여옥이라는 설도 있음
백수광부의 처 - 여옥이라는 설도 있음
公 無 渡 河
(공무도하) 님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 竟 渡 河 (공경도하) 님은 기어이 물을 건너시네 墮 河 而 死 (타하이사) 물살에 휩쓸려 빠져 죽으시니 當 柰 公 何 (당내공하) 아아, 저 님을 어찌할꼬 |
일찍이 중국에까지 전해져
이백(李白)을 비롯한 많은 시인들이 차운(次韻)하기도 했던 고대 가요. 작품명 : <공무도하가>, 악곡명 : <공후인> * <해동 역사>에는 <고금주>에 이 노래가 전한다고 기록하고 내용을 싣고 있는데, 확인 결과 <고금주>에는 전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우리 나라 서정시의 출발이라 할 이 노래는 한국적 정서인 한(恨)의 원류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한(恨)이 이별과 죽음, (강)물(의 이미지) 등에 연원한다고 볼 때, 한국적인 이별의 정한을 담은 속요 [서경별곡], 정지상의 [송인] 등이 강물을 매개하고 있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라고 볼 수 없다. * 지은이 : 일반적으로 '백수광부의 아내'로 보나, 죽는 남편을 보며 공후를 들고 와서 노래를 부르는 상황이 이치에 맞지 않는다 하여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인 '여옥'으로 보기도 하지만, 설화에 따라 백수광부의 아내가 지은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
[배경 설화] 고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가 아침 일찍 일어나 배를 손질하고 있었다. 그 때 머리가 허옇게 센 미치광이 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쥐고는 어지러이 흐르는 강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 뒤를 그의 아내인 듯한 여자가 따르며 말렸으나 미치지 못해 그 미치광이는 끝내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여자는 공후를 뜯으며 공무도하의 노래를 지었는데, 그 소리가 아주 슬펐다. 노래가 끝나자 그의 아내는 스스로 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이러한 광경을 목격한 곽리자고는 돌아와 자기 아내 여옥에게 그 이야기와 함께 노래를 들려 주었다. 여옥은 슬퍼 공후를 뜯으면서 그 노래를 불렀다. 듣는 사람들 중에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여옥은 이 노래를 이웃에 사는 여용에게 전했다. 이 노래를 이름하여 [공후인]이라 하였다. <해동역사 권 22 악가악무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