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든 것이 서러워 시름하는구나
아름다움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으려고 하는구나
눈 깜박할
사이에
만나 뵈올 기회를 지으리이다.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에,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인들 있으리이까. -
양주동
해독
<모죽지랑가> 배경 설화
제 32대 효소왕 때에 죽지랑의 낭도 중에
득오실(득오곡이라고도 함)이라는 급간이
있었는데 화랑의 명부에 이름을 올리고 있었다. 날마다 나와 정진하고 있었는데 열흘이 되도록 보이지 않자 죽지랑이 그 어머니를 불러서
"그대의 아들이 지금 어디 있는가?"
라고 물었다. 그 어머니가
"당전으로 있는 모량부의 익선 아간이 제 아들을 부산성
창직으로 차출시켜 급히 달려가느라 미처 낭에게 하직 인사를 못하였습니다."
하였다. 죽지랑은
"그대의 아들이 만일 사사로운 일로
거기에 갔다면 찾아갈 것이 없지만 이제 공적인 일로 갔으니 찾아가서 대접해야겠소."
하고 떡 한 합과 술 한 동이를 가지고
좌인(방언으로는 개질지라 하니 종을 말함)을
데리고 갔다. 낭도 1백 37명도 모두 의례를 갖추어 따라갔다.
부산성에 이르러 문지기에게
"득오곡이 어디
있느냐?"
하고 묻자
"지금 익선의 밭에서 관례대로 부역하고 있습니다."
하였다. 죽지랑이 밭으로 찾아가서 술과 떡을 대접하고
익선에게 휴가를 청하여 같이 돌아오려 하나 익선이 굳이 허락하지 않았다. 그 때 사리 간진이 추화군에서 조세 30석을 거두어 성 안으로
수송하다가 죽지랑이 선비를 중히 여기는 정을 아름답게 여기고 변통성이 없는 익선을 야비하게 생각하여 거둔 벼 30석을 주며 청했지만 허락하지
않았다. 다시 간진이 타던 말과 안장을 주니 그제야 허락하였다. 이러한 후의를 입은 득오곡이 죽지랑을 사랑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
조정에서는 화랑을 관장하는 이가 그 말을 듣고 사신을 보내어 익선을 잡아다가 그 추한 짓을 씻어주려 하였는데
익선이 도망하여 숨어 버려 대신 그 맏아들을 잡아갔다. 동짓달 극히 추운 날 성 안의 못에다 목욕시켜 얼어 죽었다. 대왕이 듣고 어명으로 모량리
사람으로 벼슬하는 자는 쫓아 버리고 다시는 공적 기관에 들이지 않았고, 승복도 입지 못하게 하였다. 만일 승려가 된 자가 있어도 큰 절에는 들지
못하게 하였다. 또 사람에게 일러 간진의 자손을 평정호의 자손으로 삼아 특별히 표창하게 하였다. 원측법사는 해동의 큰 스님이지만 모량리
사람이므로 승직을 주지 않았다
(출처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네이버 지식iN)